문제 상황
프리티어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AWS 비용이 청구되어 청구서에 들어가보니 VPC 항목에 대해 비용이 발생했다.
원인
모든 IPv4 주소 유료화
IPv4 주소가 포화 상태에 이르러 2024년 2월부터 IPv4 주소에 대해 요금이 부과되도록 변경되었다.
AWS에서 퍼블릭(Public) IPv4 주소에 대한 새로운 요금이 도입됩니다. 2024년 2월 1일부터 서비스 연결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퍼블릭 IPv4 주소에 대해 시간당 IP당 0.005 USD의 요금이 부과됩니다. AWS는 Amazon Elastic Compute Cloud용 AWS 프리 티어에 매달 750시간의 퍼블릭 IPv4 주소 사용량을 포함하도록 업데이트합니다(12개월 무료).
공지 – AWS Public IPv4 주소 요금 변경 및 Public IP Insights 기능 출시 | Amazon Web Services
AWS 프리 티어, 이제 퍼블릭 IPv4에 대한 요금이 부과됨에 따라 750시간의 무료 퍼블릭 IPv4 주소 사용 포함
프리티어인데 왜 비용이 발생했을까?
위 내용에 따르면 프리티어는 여전히 무료인데 왜 비용이 발생했을까?
IPv4 요금제가 변경되며 퍼블릭 IPv4 주소 사용을 보다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Public IP Insights가 출시되었다.
내가 어떤 IPv4 주소를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보자.
퍼블릭 IP 인사이트를 처음 이용한다면 IPAM 생성이 필요하다.
AWS > Amazon VPC IP Address Manager > 퍼블릭 IP 인사이트 > IPAM 생성
IPAM 생성 후 약 10분 정도 기다리면 퍼블릭 IP 인사이트를 볼 수 있다.
나는 EC2에서 1개, RDS에서 1개여서 총 2개를 사용 중이였다.
아마 1개는 프리티어로 0원, 나머지 1개는 요금 부과였던거 아닐까 싶어 RDS 퍼블릭 IP 주소를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해결
RDS에 할당된 IPv4 주소 해제하기
RDS > 데이터베이스 > DB 식별자 > 수정 > 연결 > 추가 구성 > 퍼블릭 액세스 불가능 > 즉시 적용
퍼블릭 액세스 불가능으로 변경하면 RDS의 Public IPv4 주소는 잘 해제된 것이다.
퍼블릭 IP 인사이트에 반영이 느리므로 시간이 지난 후 확인해보자.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CD] Spring Boot3 + AWS EC2 + GitHub Actions CI/CD 적용하기 (0) | 2024.12.02 |
---|---|
[AWS/EC2] AWS EC2 + RDS + S3 생성하고 배포하기 #3 빌드 및 배포 (0) | 2024.11.16 |
[AWS/RDS] AWS EC2 + RDS + S3 생성하고 배포하기 #2 RDS + S3 (0) | 2024.10.28 |
[AWS/EC2] AWS EC2 + RDS + S3 생성하고 배포하기 #1 EC2 (0) | 2024.10.21 |
[AWS/S3] 이미지 업로드용 S3 버킷 및 IAM 사용자 생성하기 (0) | 2024.09.27 |